패스트캠퍼스 강의를 듣고 이제 개인 프로젝트를 시작해보려고 했다. 그런데 낭패다. 깃크라켄을 사용해서 프로젝트 관리를 하고싶은데, 깃 레파지토리와 깃크라켄을 연결하는 것부터 막혀버렷다..😭 눈물을 머금고 포스팅 시작.
1. GitHub에 Repository 생성하기
1) Repository name에 저장소 이름을 입력하고 Description에 해당 저장소의 소개를 간단하게 서술한다.
2) public으로 지정해준다. (Private 으로 지정하면 깃헙에 올리는 코드가 나만 볼 수 있게 바뀌지만 여러가지 연동부분에서 막히는 부분이 많을 수 있다)
3) Initialize 관련된 설정은 최초커밋과 관련된 내용인데 최초커밋이 없는 상태에서 Repository가 생성되면 여러가지로 귀찮아지는 부분이 있다. 그래서 README 추가!
4) Create repository 버튼 클릭으로 생성완료.
그럼 이렇게 Repositories 탭에서 해당 repository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
2. GitKraken 설정
먼저 내 GitKraken tab화면이다. GitHub을 연동해서 사용하려면 오른쪽 아래 Integrations 에 Github이 저렇게 체크가 되어있어야 한다. 나는 GitHub에 먼저 연동을 해둔 상태인데, 아직 연동을 하지 않았다면 선행작업이 먼저 필요하다.
3. Git Kraken Work space 생성하기
GitKraken에서 Repository를 가져오려면 Workspace가 있어야한다.
Workspace 탭에서 New Workspace를 생성해주자.
1) Workspace name 입력
2) Description 기재
3) 개인 프로젝트를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Personal Type 지정
4) 연동한 Github의 repository를 불러오기
5) Create Workspace 버튼 클릭
생성된 워크스페이스의 Repositories 탭에 들어오면 깃헙에 생성한 Repository가 연동된 것을 볼 수 있다.
README가 Initial commit으로 적용된 것이 깃헙과 동일한 형태로 불러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