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4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

쿠키와 세션은 왜 필요할까? HTTP 프로토콜의 특징이자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비연결성(Connectionless) HT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요청(Request), 응답(Response)를 주고 받은 뒤 연결을 끊는 처리방식이다. 무상태성(Stateless) 커넥션이 끊기는 순간 상태 정보를 유지하지 않는다. 이 두가지 특징으로 인해 HTTP는 데이터를 유지하지 않지만 실제로 웹을 사용해보면 데이터를 유지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들면 아이디 비밀번호를 기억하여 자동 로그인을 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이나 오늘 본 상품이 무엇인지와 같은 데이터들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기억해야한다. 만약 쿠키나 세션이 없다면 아래와 같은 일이 생길 수 있다. Client : 가까운 맛집 찾아줘 Server ..

Network 2022.10.11

HTTP와 HTTPS란? 암호화란?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텍스트 기반의 통신규약.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규약을 정해두었기 때문에 규약에 맞춰 개발하면 서로간의 통신을 할 수 있게해준다. HTTP의 특징 클라이언트에서 Request가 발생하면 서버에서 Response 하는 형태로 동작된다. TCP/IP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토콜이다. 연결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비연결성(Connectionless) 프로토콜이다. 서버와 연결이 끊기는 순간 통신이 끝나며, 연결의 상태 정보를 유지하지 않는 무상태(Stateless) 특성이 있다. HTTP 요청(Request)의 종류 HT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Request - Response 의 형태로 동작된다고 앞서 이야기했다. 그럼 ..

Network 2022.10.10

OSI 7 Layer 와 TCP/IP 비교

지난 포스트에서 OSI 7 Layer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런데 OSI 7 Layer가 국제 표준기구에서 만든 표준이라 해서 디테일하게 공부를 했더니 사실상 지금은 시장에서 진 개념이라는 것!!! 하지만 TCP/IP도 OSI 7 계층과 일맥상통하는 개념이라 둘 다 공부해야 한다. ㅎㅎㅎㅎㅎㅎㅎ 자 그럼 지금의 산업 표준이 된 TCP/IP 에 대해서 공부해보자. TCP/IP Model TCP/IP(Transfer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미국 국방부가 정의한 네트워크 통신 표준 모델이다. OSI 모형이 아니라 TCP/IP가 표준인 이유는 OSI 모형보다 TCP/IP가 더 먼저 사용되었기 때문이며 시장에서 점유율이 더 높기 때문이다. TCP/IP 와 OSI는 네트워크 ..

Network 2022.10.08

OSI 7계층과 프로토콜(Protocol), TCP/UDP 차이

OSI 7계층이란? (Open System Interconnection)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구분하여 만든 표준규격이다. 각 계층은 독립적인 모듈로 구성이 되어있고 상하 계급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이 제대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하위의 모든 계층에 문제가 없어야 한다. - 물리계층(1 Layer) : 하드웨어 - 데이터링크 계층(2 Layer) :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 3~7 Layer : 소프트웨어 OSI 7계층을 나눈 이유는? 설계가 간단해지고, 통신이 일어나는 흐름을 한눈에 알아보기 쉬움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표준화함으로써 서로 다른 통신 장치와의 상호 호환 가능 단계별로 나누어 문제가 생겼을 때 이상이 생긴 단계만 고칠 수 있어 편리하기 때문에 ..

Network 2022.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