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포스트에서 OSI 7 Layer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런데 OSI 7 Layer가 국제 표준기구에서 만든 표준이라 해서 디테일하게 공부를 했더니 사실상 지금은 시장에서 진 개념이라는 것!!!
하지만 TCP/IP도 OSI 7 계층과 일맥상통하는 개념이라 둘 다 공부해야 한다. ㅎㅎㅎㅎㅎㅎㅎ
자 그럼 지금의 산업 표준이 된 TCP/IP 에 대해서 공부해보자.
TCP/IP Model
TCP/IP(Transfer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미국 국방부가 정의한 네트워크 통신 표준 모델이다. OSI 모형이 아니라 TCP/IP가 표준인 이유는 OSI 모형보다 TCP/IP가 더 먼저 사용되었기 때문이며 시장에서 점유율이 더 높기 때문이다.
TCP/IP 와 OSI는 네트워크 통신 모델의 표준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그리고 이 두 모델의 차이점은 아래의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다.
1. 응용계층 + 표현계층 + 세션계층 을 응용 계층 하나로 묶어서 보았다.
2. 네트워크 계층의 이름을 인터넷으로 바꿨다가 현재로는 다시 네트워크 계층으로 변경하였다.
3. 데이터링크 계층 + 물리 계층을 네트워크 접속 계층으로 묶어서 보았으나 현재는 다시 따로 두었다.
즉 TCP/IP 4계층에서 5계층으로 변경되면서 업데이트되었다.
OSI 7 Layer와 비교했을 때 TCP/IP updated 는 Application Layer가 달라진 것을 볼 수 있다.
그래서 TCP/IP 만의 Application Layer의 프로그래밍이 생겼다.
TCP/IP 소켓 프로그래밍
소켓 프로그래밍을 통해서 세션계층부터 응용계층까지의 기능을 사용자 프로그램이 구현한다.
OS의 Transport Layer(4 Layer)에서 제공하는 API를 활용하여 통신 가능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내는 것이 바로 TCP/IP 소캣 프로그래밍 또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이라고 한다.
소켓프로그래밍 만으로도 클라이언트, 서버 프로그램을 따로 만들어서 동작시킬 수 있고 누구나 자신만의 application layer 인코더, 디코더를 만들 수 있다.
TCP/IP Applicaion Layer가 하는 역할은
OSI 7 Layer의 5,6,7계층 (세션계층, 표현계층, 응용계층)이 하던 일을 모두 한다고 볼 수 있다.
통신회선 구축 , 인코딩/디코딩 , 압축 , 암호화 등이 있다.
끝!
참조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 (1) | 2022.10.11 |
---|---|
HTTP와 HTTPS란? 암호화란? (0) | 2022.10.10 |
OSI 7계층과 프로토콜(Protocol), TCP/UDP 차이 (4) | 2022.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