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

oneyenee 2022. 10. 11. 17:08

쿠키와 세션은 왜 필요할까?

HTTP 프로토콜의 특징이자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비연결성(Connectionless)

HT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요청(Request), 응답(Response)를 주고 받은 뒤 연결을 끊는 처리방식이다.

무상태성(Stateless)

커넥션이 끊기는 순간 상태 정보를 유지하지 않는다. 

 

이 두가지 특징으로 인해 HTTP는 데이터를 유지하지 않지만 실제로 웹을 사용해보면 데이터를 유지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들면 아이디 비밀번호를 기억하여 자동 로그인을 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이나 오늘 본 상품이 무엇인지와 같은 데이터들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기억해야한다.

 

만약 쿠키나 세션이 없다면 아래와 같은 일이 생길 수 있다.

Client : 가까운 맛집 찾아줘
Server : A와 B 식당 추천드립니다.
--- 통신 종료 ----
Client : 추천해준 식당 중 평점이 높은 곳을 알려줘
Server : 내가 추천해준 식당? 몰?루

 

그래서 HTTP의 특징이자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선 쿠키와 세션이 필요하다.

 

HTTP에 대해서 잘 모른다면 요기로

https://oneyenee.tistory.com/8

 

HTTP와 HTTPS란? 암호화란?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텍스트 기반의 통신규약.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규약을 정해두었기 때문에 규약에 맞춰 개발하면 서로간의 통신을 할 수 있게해준다.

oneyenee.tistory.com

 

 

쿠키(Cookie)

사용자가 어떠한 웹 사이트를 방문할 경우,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작은 기록 정보 파일이다.

HTTP에서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클라이언트 PC에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정보를 참조하거나 재사용한다.

 

쿠키의 특징

  • 이름, 값, 만료일, 경로 정보로 구성되어 있음 (쿠키의 저장기간을 처음 저장시킬 때 정할 수 있다)
  • 클라이언트에 총 300개의 쿠키를 저장할 수 있음
  • 도메인 당 20개의 쿠키를 저장할 수 있음
  • 하나의 쿠키는 최대 4KB까지 저장가능

쿠키의 동작방식

1) 클라이언트에 페이지를 요청한다.

2) 웹서버는 쿠키를 생성한다.

3)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페이지와 함께 생성한 쿠키를 돌려준다.

4) 클라이언트 PC에 쿠키가 저장되고 클라이언트는 요청한 화면을 볼 수 있다.

-- 웹페이지 닫고 이후에 재접속했을 때--

5) 클라이언트 PC에 쿠키가 있는 경우 웹서버에 페이지 요청을 하면서 쿠키를 함께 전송한다.

6) 웹서버는 요청한 페이지와 함께 업데이트 된 쿠키를 돌려준다.

 

 

세션(Session)

일정 시간 동안 같은 사용자로부터 들어오는 일련의 요구를 하나의 상태로 보고, 그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술이다.

여기서 일정 시간은 방문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한 시점부터 웹 브라우저를 종료시켜 연결을 종료시킬 때 까지를 말한다.

즉, 방문자가 웹 서버에 접속해 있는 상태를 하나의 단위로 보고 그것을 세션이라고 한다.

주의할 점은 쿠키와 세션은 반대되는 개념은 아니다. 세션은 쿠키를 이용하는 하나의 방식으로 쿠키와 세션은 방식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세션의 특징

  • 웹 서버에 웹 컨테이너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함
  • 웹 서버에 저장되는 쿠키 = 세션 쿠키
  • 서버 용량이 허용하는 한에서 저장이 가능함. (쿠키와 달리 저장 용량의 제한이 없다)
  • 각 클라이언트에 고유 Session ID를 부여한다.
  • 브라우저를 닫거나, 서버에서 세션을 삭제했을 때만 삭제가 되므로 쿠키에 비해 보안이 좋다.

세션의 동작 방식

1) 클라이언트가 페이지를 요청한다.

2) 서버는 요청한 HTTP Request Header 필드 Cookie를 확인하여 Session ID를 확인한다.

3) Session ID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생성하여 요청한 페이지와 함께 클라이언트에게 돌려준다.

4) 클라이언트는 Session ID를 쿠키를 사용해 서버에 저장한다.

-- 웹페이지 닫고 이후에 재접속했을 때--

5) 클라이언트는 쿠키를 사용해 Session ID값을 서버에 전달한다.

6) 서버는 Session ID를 확인하고 이전 데이터가 반영된 화면을 전달한다.

 

 

쿠키와 세션의 차이점

 

  쿠키 (Cookie) 세션 (Session)
저장 위치 클라이언트 웹 서버
라이프 사이클 설정된 만료일자에 삭제 브라우저를 닫거나 서버에서 세션을 삭제했을 때 종료
저장 용량 최대 4KB, 300개
도메인당 20개
서버가 허용하는 한 무제한
보안 좋지 않음 좋음
속도 빠름 느림

보안에 좋다고 무조건 세션만 사용하는 것은 속도가 느리기도 하며 불필요하게 서버의 용량을 차지할 수도 있기 때문에 쿠키와 세션 모두 적절하게 섞어서 사용해야한다. 

 

 

+ 캐시(Cache)

리소스 파일들의 임시 저장소.

쿠키나 세션은 서버를 거쳐서 이전 데이터를 가져오는 개념이라면 캐시는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로컬 PC의 임시 저장소에 넣어두고 페이지 로딩 속도를 빨라지게 만드는 것이다. 웹 브라우저가 동일한 주소로 연속으로 요청할 경우 첫 번째 요청의 결과를 로컬 PC의 캐시에 저장해둔 다음, 두 번째 요청 시 서버에 접근하는 것 대신에 로컬 PC의 캐시를 가져온다.

 

리소스파일 대상 :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css, js파일 등

캐시는 페이지 로딩 속도를 빠르게 해주는 확실한 성능이 있지만 크기가 작고 가격이 비싸다. 

 

끝!

 

참조

https://dev-coco.tistory.com/61?category=962737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의 차이 (+캐시(Cache))

쿠키와 세션을 사용하는 이유? HTTP 프로토콜의 특징이자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HTTP 프로토콜의 특징 1. Connectionless 프로토콜 (비연결 지향)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Request)을 했을

dev-coco.tistory.com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와 HTTPS란? 암호화란?  (0) 2022.10.10
OSI 7 Layer 와 TCP/IP 비교  (1) 2022.10.08
OSI 7계층과 프로토콜(Protocol), TCP/UDP 차이  (4) 2022.10.08